본문 바로가기
Coding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7 종목

by Emily Blunt 2022. 2. 25.
반응형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7 종목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수소 관련주 대장주 TOP 13 "中 태양광 발전 공룡들, 글로벌 수소 시장 장악도 노린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지배력을 구축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녹색

financial-technology.tistory.com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글로벌 수소경제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잇달아 출시했다. 수소 연료전지와 배터리를 비롯해 수소 생산·발전, 저장·공급, 수소차 관련 기업을 주로 담고 있다.

15일 KB자산운용은 ‘KBSTAR글로벌수소경제Indxx’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인덱스(INDXX)의 ‘Indxx Hydrogen Economy Index’를 기초 지수로 추종하며, 수소 밸류체인 산업에 해당하는 글로벌 기업 중 상위 30개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올해 1월 말 기준 테마별로는 수소 연료전지와 배터리가 3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수소 생산·발전(38.4%), 저장·공급(13.6%), 시스템·솔루션(10.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에어리퀴드(10.7%), 블룸에너지(7.1%) 등이 꼽혔습니다.

같은날 한화자산운용은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를 상장했습니다. 미국 MVIS사의 블루스타하이드로젠&넥스트젠퓨어셀인덱스(BlueStar Hydrogen and NextGen Fuel Cell Index)를 대표 지수로 추종합니다.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는 매출의 절반 이상이 수소 또는 수소연료전지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되, 연료전지 관련 기업에 중점을 뒀입니다. 플러그파워, 넬, 발라드파워시스템 등이 ETF를 구성하는 주요 종목입니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사업 본부장은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 전환은 필연적인 흐름”이라며 “주요국의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는 만큼 관련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장기투자 관점에서 수소 관련 기업과 시장 동향을 꾸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미국과 중국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관련 산업에 투자하는 모빌리티 테마 ETF인 ‘KINDEX G2전기차&자율주행 액티브 ETF를 선보였습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현재 국내 최대 규모 전기차 공모펀드인 ‘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KINDEX G2전기차&자율주행 액티브 ETF’는 글로벌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산출하는 ‘FactSet US-China Electric&Autonomous Vehicle Index’를 추종합니다. 이 지수는 미국과 중국 소재 거래소에 상장된 전기차 및 수소차, 자율주행, 공유차 관련 기업 50여개로 구성됐습니다.

해당 ETF는 미국과 중국의 전기차 관련 대표주인 테슬라, 비야디(BYD), 니오 등을 담고 있습니다. 수소차 관련주 중에서는 블룸에너지, 퓨얼셀에너지, CIMIC엔릭 등에 투자합니다.

효성첨단소재(29805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2018년 6월 (주)효성의 산업자재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화학섬유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타이어코드, 스틸코드, 안전벨트 및 에어백용 원사 등 산업용 원사를 주로 생산하며, 스판덱스, 폴리에스터 등 의류용 원사도 생산함.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울산, 대전, 전주 등에 공장을, 베트남, 중국, 유럽 등지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전방 자동차산업의 위축으로 타이어코드 판매가 감소하였으며 산업용원사, 자동차 카페트 등 산업자재부문과 스판덱스 등 의류용 원사 판매 부진으로 전년대비 매출 감소.

-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하락하였으나 무형자산손상차손 제거 등 기타수지 및 금융수지 개선으로 순이익 흑자전환.

- 전방 자동차 산업의 회복에 따른 타이어코드 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베트남 공장의 생산능력 확대, 아라마이드 증설분 가동, 탄소섬유 부문 증설 등으로 매출 성장 전망.


디케이락(10574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업체로 2010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경상남도 김해시 소재 본사 및 공장을 운영 중임.

- 취급 제품은 조선, 정유시설 등 대형 플랜트에 주로 사용되며, DOW, Gazprom, 현대중공업, 두산엔진 등 300여 개 거래처에 제품을 공급 중임.

- 해외 시장의 경우 전 세계 47여 개국 108개의 대리점(동사의 제품만을 판매하는 조건)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서 판매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글로벌 경기침체 및 전방 플랜트 산업의 부진으로 주력제품인 계장 및 피팅 수주 감소하며 전년대비 매출 규모 축소되었음.

- 원가구조 악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큰 폭 하락한 가운데 법인세수익 발생에도 외환손실, 파생상품평가손실 등 영업외수지 저하로 순이익은 전년대비 적자전환.

- 글로벌 경기 개선과 전방 플랜트 산업의 회복세로 피팅 및 밸브 수요 증가, 친환경차 시장의 성장, 반도체 공정설비 향 매출 가시화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


국일제지(07813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각종 지류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도, 소매 및 수출입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8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10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 담배필터용 박엽지 생산과 스테인리스 마모방지용 강판간지를 주로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와 아시아 지역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 2018년 11월 친환경 소재인 그래핀 면상발열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국일그래핀을 설립, 종속기업으로 편입하였음.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담배필터용 박엽지의 판매 부진에도 아산공장 크라프트지 부문의 큰 폭 성장으로 전년대비 매출 성장 시현하였음.

- 대손상각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확대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하락하였으나, 파생상품부채평가손실 제거로 순손실 규모 축소.

- 국내 건설투자 확대로 크라프트지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내수경기 회복세로 박엽지 역시 수요가 증가하며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


엔케이(08531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고압가스용기, 선박용 소화장치 및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2020년 10월 건물관리용업 업체인 참좋은을 종속기업으로 편입.

- 고압가스용기의 경우 글로벌 액사 등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선박용 소화장치 및 밸러스트 수처리장치는 국내외 조선사에 직접 납품하고 있음.

- 연평균 수출 비중이 70% 정도로 수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용기제작에 쓰이는 파이프의 경우 전량 수입(중국, 유럽, 일본 등)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전방 조선산업의 부진으로 주력 소화장치 수주가 부진한 가운데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수주 역시 부진하며 전년대비 매출 규모 축소.

- 원가율 하락 및 운반비 감소 등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손실 전년대비 축소, 무형자산손상차손 감소 및 종속기업처분에 따른 중단영업이익으로 순손실 규모도 크게 축소.

- 글로벌 경기 개선에도 전방 조선산업의 건조량 감소로 고압가스용기, 소화장치 등의 수요 부진하며 매출 성장 제한적일 듯.


일지테크(01954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중국에 해외 생산법인을 두고 REINF SIDE COMPL, DASH COMPL 등 자동차 차체 부품인 PANNEL류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

- 현대자동차의 1차 부품 협력 업체로서 주요 매출처는 현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의 중국 법인인 Beijing-Hyundai Motor Company임.

- 고객사(현대·기아차)의 신차 개발 계획에 맞추어 연구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규 모델 수주 위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COVID-19 영향으로 완성차 업체들의 셧다운에 따라 주요 부품의 국내 수주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중국향 매출이 증가한바 외형은 전년수준 유지.

- 원가율의 하락과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적자 폭은 전년대비 축소되었으며 금융수지 개선에도 기타수지 저하와 법인세 발생으로 순손실폭은 확대.

- 글로벌 자동차 생산 확대에 따라 국내 및 수출 물량 증가가 기대되는바 이를 통해 매출 성장 및 수익성 또한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차량용 반도체부품 공급 차질로 그 폭은 제한적.


이엠코리아(09519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공작기계(CNC선반, MCT부품 외) 및 방산/항공 부품(K-9/21 부품, T-50부품, 민항기부품 외)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경영효율성 및 사업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수익성을 강화할 목적으로 2016년 1월 1일 자로 환경 및 에너지 관련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이엠솔루션(주)으로 신규 설립.

- 공작기계 구성품과 CNC 선반 완제품은 OEM·ODM방식으로 현대위아를 통해 국내 자동차부품업체로 공급, 방산/항공 부품은 현대위아, 한화디펜스, KAI 등으로 납품함.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에너지 부문 자회사인 이엠솔루션의 큰 폭 성장에도 COVID-19 영향에 따른 공작기계 수주 위축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대비 축소.

- 원가구조 개선과 경상연구개발비 등 판관비용 감소의 영향으로 영업손실 규모 전년대비 축소, 파생상품평가이익 증가 등으로 순손실 규모도 축소.

- 자동차 산업의 제한적 성장에도 글로벌 경기 개선과 기계산업의 생산 증가, 항공기착륙장치 정비사업 본격화, 그린수소충전소 시장 확대 등으로 외형 신장 전망.


코오롱인더(120110) :: 수소 관련주

기업개요

- 2010년 1월 (주)코오롱의 산업자재 및 기타 화학 제품, 섬유, 의류, 피혁제품, 스포츠 레저용품 등 제조사업 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임.

- 자동차소재 등을 생산하는 산업자재군, 종합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화학소재군, 패션 및 아웃도어 제품의 생산 및 판매하는 패션군, 필름/전자재료군, 의료소재 등의 사업군으로 구분됨.

- 화학부문에서 국내외 시장의 독점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수첨수지 등 고부가 제품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어 경쟁력 확대 중.

실적 및 분석

수소-관련주
수소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COVID-19의 영향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로 전방산업이 부진한바 산업자재, 패션의류, 화학소재, 필름부문 등의 판매가 위축되어 전년대비 매출 감소.

- 매출 감소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및 중단영업이익 발생으로 순이익률 상승.

- 전방 산업의 회복으로 타이어코드, 에어백, POM 등 자동차부품 수요 증가 기대, 5G관련 아라마이드 섬유의 매출반영 등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 전망.


수소 관련주